라벨이 worklaptoptips인 게시물 표시

노트북 전원 버튼은 들어오지만 팬만 돌고 화면 안 켜질 때 진단 순서

이미지
노트북의 전원 버튼을 눌렀을 때 팬은 돌아가고 LED는 들어오지만, 화면이 전혀 켜지지 않는 증상은 많은 사용자들이 겪는 일반적인 문제입니다. 특히 작업 중 강제 종료 이후나 장시간 사용 후 재부팅 시 자주 발생할 수 있으며,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해당 증상의 주요 원인과 자가 점검 및 해결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하여 안내드립니다. 증상의 주요 특징 전원 버튼을 누르면 팬은 회전하고 전원 LED가 점등됨 하지만 디스플레이는 검은 화면에서 아무 반응 없음 키보드 백라이트, 하드디스크 작동음 등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음 외부 모니터 연결 시 출력이 되거나 되지 않음 이와 같은 증상은 단순한 설정 문제일 수도 있지만, 하드웨어적인 손상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단계적으로 문제를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가능한 원인 분석 1-1. 디스플레이(내장 화면) 고장 또는 연결 문제 노트북의 LCD 패널이나 케이블이 손상되었거나, 디스플레이 백라이트 회로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화면이 켜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외부 모니터로 연결해보면 출력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1-2. RAM 접촉 불량 또는 메모리 오류 노트북은 부팅 과정에서 메모리를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하면 화면 출력 없이 멈추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RAM을 제거하고 재장착하거나, 슬롯을 교체해 테스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1-3. BIOS 설정 오류 또는 CMOS 방전 CMOS 배터리가 방전되었거나 BIOS 설정이 꼬인 경우, 부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화면 출력도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1-4. 외부 장치의 간섭 USB 저장장치, 무선 수신기, SD 카드 등 외부 장치가 부팅을 방해하거나 충돌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장치를 모두 제거하고 테스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1-5. 그래픽 칩셋 또는 메인보드 이상 하드웨어적으로 가장 심각한 원인은 메인보드 손상이나 그래픽 칩셋 불량입니다. 특히...

신입사원이 첫 노트북 고를 때 실수하는 조건들

이미지
 신입사원 또는 사회 초년생이 업무용으로 처음 노트북을 살 때 “문서 작업만 할 건데요”라는 기준으로 저렴한 제품을 고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막상 일을 시작하고 보면 문서 작성만이 전부가 아니다. 영상 회의, 협업 툴, 클라우드 연동, 보고서 편집, 프레젠테이션 제작 등 다양한 작업이 동시에 요구된다. 그래서 첫 노트북 선택에서 사소한 조건 하나라도 놓치면 단순한 불편을 넘어서 업무 생산성 자체가 떨어질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신입사원이 흔히 실수하는 노트북 구매 조건 5가지 를 실제 업무 사용 관점에서 정리한다. 1. CPU 모델만 보고 세대는 확인하지 않는다 많은 입문자들이 CPU가 ‘i5’ 또는 ‘라이젠 5’면 충분하다고 생각하지만, 세대 차이만으로 성능이 크게 달라진다. 예: 10세대 i5와 13세대 i5는 전력 효율, 발열 관리, 처리 속도 모두 다름 AMD도 마찬가지로 Ryzen 5 3000번대와 7000번대는 급이 다르다 신제품이라고 무조건 최신 CPU가 들어있는 것이 아니므로 모델명 뒤 숫자를 꼭 확인 해야 한다. 구형 칩셋이 탑재된 신형 노트북도 있기 때문이다. 2. 메모리 용량만 보고 ‘확장 가능성’을 놓친다 요즘 업무 환경은 동시에 여러 앱을 띄워야 하는 경우가 많다. 웹 브라우저, 이메일, 오피스 프로그램, 메신저, 화상 회의 앱 등 단일 작업이 아니라 다중 작업이 기본이다. 최소 8GB는 되어야 기본적인 작업이 안정적으로 가능 단, 메모리가 온보드(납땜식) 방식이면 업그레이드가 불가능 가능하다면 메모리 슬롯이 있는 모델로 선택해 추후 16GB로 확장 가능한 모델이 좋다 단기적 판단보다 2~3년 후 업무 변화까지 고려한 선택 이 필요하다. 3. 저장 공간만 충분하면 된다고 생각한다 업무용 노트북은 저장 공간보다 속도와 안정성 이 중요하다. 간혹 512GB HDD가 들어간 제품이 256GB SSD 모델보다 싸게 나오는 경우가 있지만 속도는 비교 ...